비흡연 여성 폐암환자 증가…과거 간접흡연 원인으로 지적

서영웅 / 기사승인 : 2014-11-03 18:26:00
  • 카카오톡 보내기
  • -
  • +
  • 인쇄
NULL

폐암에 걸린 비흡연 여성 환자가 늘고 있다.


어릴 적 가족에 의한 간접흡연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.


3일 국립암센터 폐암센터의 암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1년부터 올해까지 폐암 수술을 받은 2948명을 분석한 결과, 여성 환자가 10명 중 3명꼴에 해당하는 831명(28.2%)으로 집계됐다.


주목할 점은 이 중 대다수인 730명(87.8%)이 평생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는 점이다.


국립암센터 폐암센터 이진수 박사는 “50~60년대 가난했던 시절 부모나 남편, 조부모, 형제와 한방에 함께 살아오면서 오랜 시간 간접흡연에 노출된게 노년기 들어 폐암으로 진단 받는 주요 이유로 추정된다"고 말했다.


이 박사는 이어 “어릴 적 남성보다 여성이 집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시간이 더 길었던 점도 원인이 될 수 있다”고 설명했다.


여성 폐암환자 증가 추세는 국내 폐암 발생 통계치에서도 확인됐다. 국내 인구 10만명당 폐암 발생률은 지난 1999년 28.9명에서 2011년 28.7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, 여성만 놓고 보면 같은 기간 12.9명에서 15.5명으로 유독 증가했다. 반면 남성은 10만명당 51.9명에서 46.7명으로 줄었다.


다만 비흡연 폐암 여성의 경우 5년 생존율이 97%로 전체 폐암환자의 5년 생존율 84%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은 것으로 전해졌다. 특히 수술 후 재발한 경우라 하더라도 비흡연 여성 폐암 환자는 재발 이후부터 중앙생존값이 34개월로, 5년 생존율도 22.5%에 달했다.


이 박사는 "폐암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금연하고 간접흡연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"면서 "특히 영유아나 청소년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"고 충고했다.


[저작권자ⓒ 프레스뉴스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
  • 글자크기
  • +
  • -
  • 인쇄

댓글 0

댓글쓰기
  • 이 름
  • 비밀번호

-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.
-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,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/비방/허위/명예훼손/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.